로고

인천시 중구, 인천아리랑 지도자 배출을 위한 인문학 강의 운영

김종석 기자 | 기사입력 2023/09/21 [12:53]

인천시 중구, 인천아리랑 지도자 배출을 위한 인문학 강의 운영

김종석 기자 | 입력 : 2023/09/21 [12:53]

▲ 인천아리랑 지도자 배출을 위한 인문학 강의


[경인투데이뉴스=김종석 기자] 인천시 중구 신포동 주민자치회는 인천아리랑 지도자 배출을 위한 인문학 강의를 9월 19일부터 11월 7일까지 총 8회에 걸쳐 매주 화요일 오후 4시 신포동 터진개복합문화공간에서 진행한다.

인천아리랑 지도자를 배출하는 데 목적을 둔 이번 강의는 1883년 인천 제물포 개항으로 당시 인천지역에서 불렸던 인천아리랑의 형성과 배경, 기록, 가사, 정체성, 선율, 콘텐츠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강사로는 전통연희단 잔치마당 서광일 대표가 나섰다. 서 대표는 ‘인천아리랑의 최초의 기록과 선율에 관한 연구’로 2020년 국립국악원 우수학술상을, ‘개화기 인천아리랑의 기록을 통한 전승양상과 문화자원화 방안 연구’로 2021년 단국대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다.

인천아리랑의 역사는 188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일본은 조선 침략의 거점으로 제물포 개항장에 일본인 거주지를 구축했고, 이후 전국의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인천으로 유입됐다.

이 과정에서 부둣가 노동자들이 일본인들의 멸시와 타향살이의 서러움을 노래로 불렸던 것이 ‘인천아리랑’의 형성 배경이다.

전해지는 가사는 총 3절로, 1절 중 “인천 제물포 살기는 좋아도 / 왜인(왜놈) 위세(등살)에 못 살겠네”라는 부분은 당시 일본인들이 인천에 가장 많이 들어와 있던 시기, 외세에 대항하는 민중들의 염원과 배일감정, 항일정신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이는 근대 민요로서 일반 아리랑과의 차별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즉 상업적이거나 유흥의 목적보다는 노동의 현장에서의 현실성과 저항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행사를 기획한 신포동 주민자치회 김관섭 회장은 “인천아리랑은 타 지역 아리랑 (본조아리랑, 전라도 진도아리랑, 경상도 밀양아리랑, 강원도 정선아리랑 등)처럼 우리나라 아리랑 사(史)에 학술적·음악적으로 인정됐으나 아직도 그 존재를 모르는 시민들이 많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에 인천아리랑 지도자 배출을 위한 인문학 강의를 개해여 인천아리랑의 체계적인 전승과 대중화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하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