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배달 수수료 효율적 상생 방안, 공공배달앱 활성화 45.7%, 협의 지속 22.5%, 수수료 상한제 19.8% 순
[경인투데이뉴스=박상기 기자] 배달 플랫폼과 입점 업체, 소비자 간 수수료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가장 효율적인 상생 방안으로 10명 중 4명 이상인 45.7%가 ‘지자체 중심의 공공배달앱 활성화’ 방안을 꼽았다. 다음으로 ‘배달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 꾸준한 협의’(22.5%), ‘정부의 수수료 상한제 도입’(19.8%), ‘현행 유지’(5.1%) 순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세부 응답 계층에서 ‘지자체 중심의 공공배달앱 활성화’ 방안이 가장 높은 가운데, 특히, 호남권(56.2%), 40대(55.4%), 50대(53.5%), 사무/관리/전문직(55.2%)에서 50%를 상회했다. ‘배달 플랫폼과 입점 업체 간 꾸준한 협의’ 방안은 20대(31.9%)에서, ‘정부의 수수료 상한제 도입’ 방안은 30대(32.8%)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다.
더불어 공공배달앱이 민간 플랫폼처럼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고, 소비자 취향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공공배달앱을 이용할 의향이 있는지 물은 결과, 전체 응답자의 81.8%가 이용 의향(매우 63.1% + 대체로 18.7%)이 있다고 대답했다.
한편, ▲현재 배달 플랫폼의 수수료 정책에 대해 불공정하다고 여기는 응답 비율이 68.2%를 차지했고, ▲이중가격제, 포장 수수료 부과 등으로 영세 자영업자가 느끼는 부담이 상당하다는 의견에 10명 중 8명에 가까운 78.5%가 동의했다. 또한, ▲수수료 인상이 음식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결과적으로 내수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83.0%가 공감했다. ▲수수료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7.1%인 반면, ‘시장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은 32.0%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2025년 5월 12일(월) 전국 18세 이상 대상으로 무선(100%)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조사 방식으로 실시했다. 전체 응답률은 5.1%(10,155명 통화 시도)로 최종 500명이 응답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이다. 통계보정은 2025년 4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림가중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기타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 여론조사 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바람.
박상기(psk5252@empas.com)
<저작권자 ⓒ 경인투데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많이 본 기사
|